
『대동CT연구』논문작성요령
Ⅰ. 편집도구
1. 문서편집 : 논문은 “글(2005 이상)”로 작성한다.
2. 편집용지 : 편집용지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.〔모양-편집용지〕(단축키 F7)
용지종류 |
용지여백 |
용지방향 |
|||
사용자정의 폭 : 150㎜ 길이 : 225㎜ |
위쪽 |
25㎜ |
좁게 |
||
아래쪽 |
25㎜ |
||||
왼쪽 |
21.5㎜ |
||||
오른쪽 |
21.5㎜ |
||||
머리말 |
12㎜ |
||||
꼬리말 |
0 |
||||
제본 |
0 |
Ⅱ. 논문의 기본 형식
1. 논문제목 : 논문 제목은 가급적 2행을 넘지 않는다. 영어 논문 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한다.
2. 초록 : 초록은 200단어 내외의 영어로 제시한다.
3. 연구비 수혜 : 연구비 수혜 사실이 있는 경우는 논문의 첫 쪽 하단에 명기한다.
4. 번호체계
1) 논문의 상․하위 제목 번호체계는 아래의 예와 같이 한다.
– 예 : Ⅰ 1. 1) (1) ①
2) 각 제목 사이는 한 줄씩 띄운다. 세부제목과 미세제목에 이어지는 본문은 띄우지 않는다.
5. 글자속성 및 문단속성 : 논문 각 부분의 글자속성 및 문단속성은 아래와 같이 한다.
〔모양 – 글자모양(Alt+L), 문단모양(Alt+T)〕
구분 |
글자모양 |
문단모양 |
본문 |
글꼴(대표) 신명조 크기 10pt 장평 95% 자간 -5 |
줄간격 160%
(첫째 줄)들여쓰기 2자(10pt)
왼쪽․오른쪽 여백 0 |
인용문 |
글꼴(대표) 신명조 크기 10pt 장평 95% 자간 -5 |
줄간격 150%
(첫째 줄)들여쓰기 2자(10pt)
왼쪽 여백 3자(15pt)
오른쪽 여백 0
|
각주 |
글꼴(대표) 신명조 크기 9pt 장평 95% 자간 -5 |
줄간격 130%
내어쓰기 2.3자(11pt)
왼쪽․오른쪽 여백 0 |
참고문헌 |
글꼴(대표) 신명조 크기 9pt 장평 95% 자간 -5 |
줄간격 160%
(첫째 줄)들여쓰기 2자(10pt)
왼쪽․오른쪽 여백 0 |
논문제목 |
글꼴 신명조 진하게 크기 14pt(영문 12pt) 장평 95% 자간 -10 |
중앙정렬
줄간격 150% |
대제목 |
글꼴 신명조 진하게 크기 13pt 장평 95% 자간 -10 |
왼쪽정렬
줄간격 150% |
중제목 |
글꼴 신명조 진하게 크기 12pt 장평 95% 자간 -10 |
왼쪽정렬
줄간격 150% |
저자명 |
글꼴(대표) 신명조 크기 10pt 장평 95% |
오른쪽 정렬
영문표기 : 성-이름 방식
예) 홍길동(Hong, Kil-Dong)
|
* 이상 여기에서 제시되지 않은 사항은 모두 기본 값으로 둔다. |
6. 논문순서 : 논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.
1) 제목(한글, 영문) : 연구비 수혜 사실은 각주로 처리
2) 기고자 성명(한글, 영문) : 소속은 각주로 처리
3) 목차
4) 초록(영문 또는 국문) : Key Words 수록
5) 본문 : 결론 부분 하단에 주제어(Key words) 수록
6) 참고문헌
7. 인용문 : 인용문헌의 원천명은 참고문헌에만 달고, 각주로는 달지 않는다.
8. 각주 : 각주는 반드시 본문주로 처리한다. 단 설명주는 각주로 처리할 수 있다.
1) 본문주 : 예) -고려해야 한다(홍길동 2008: 33~34).
2) 영문저자 : 성만 사용한다. 예) -고려해야 한다(Lewis 2008: 33~34).
9. 참고문헌 : 참고문헌의 표기에서 책 제목은 이탤릭체로 하며, 영문 책의 제목과 부제목의 각 단어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.
구분 |
소구분 |
방법 |
저서 |
단일저자 (책) |
_저자의 성, 저자의 이름(출판년도). 저서명(이탤릭체). 도시이름: 출판사. _예) 이건근(2017). 지방분권화 시대와 공영형 사립대학제도. 서울: 신아사. _예) McNabb, David E.(2015). Case Research in Public Management. London: Routledge. |
복수저자 (책) |
_예) 김재형, 권상로(2011).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미래. 서울: 신창. _예) Donahue, John D., and Richard J. Zeckhauser(2011). Collaborative Governance: Private Roles for Public Goals in Turbulent Times. Princeton, NJ: Princeton UP. |
|
논문 |
단일저자 |
_논문필자(출판년도). 논문명, 학술지명(이탤릭체), 권(호)번호(이탤릭체).논문페이지 _예) 이건근(2015). 개인화 경향과 학령인구감소의 원인에 대한 해외사례연구. 대동CT연구 1.2: 117~135. _예) Singh, Sonjuhi(2014). “Global Trends in Higher Education Financing.” The Working Paper8: 1-20. |
복수저자 |
_예) 김종구, 전용갑(2000). 민주평화이념의 다의성과 시대적 요구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. 대동CT연구 5.1: 234~279. _예) Donahue, John D., and Richard J. Zeckhauser(2011). “Higher Education & Community Benefits: the Role of Regional Provision.” Joining the Dots Research Briefing, 1.5: 1-19. |
|
편저서 |
단일 |
_편저서 수록 글의 저자. (출판년도). 글의 제목. 편저자. 저서명(이탤릭체)(글의 페이지). 도시: 출판사. _예) 이건근(2000). 제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세계시민정신. 허성태(편저). 세계시민정신. 서울: 서울대학교출판부. 22-45. _예) Altman, Graham(1990). Cognitive Models of Speech Processing: An Introduction. In Raymond Mikesell(ed). Cognitive Models of Speech Processing: Psycholinguistic and Computational Perspectives. Cambridge, MA: MIT. 23-44. |
복수 |
_예) Barnes, D.(1993). Supporting Exploratory Talk for Learning. In Kenney, Martin, and David C. Mowery(eds.). Public Universities and Regional Growth: Insight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. Stanford, CA: Stanford Business. 154-201. |
|
신문
잡지
기사
|
단일저자 |
_원고작성자(년도). “기사제목.” 신문․잡지명(이탤릭체) 날짜. _예) 이건근(2018). “21세기 한미 보수주의 경향의 비교.” 00일보 5월 15일. |
복수저자 |
_예) Wong, Alia(2016). “Where Are All the High-School Grads Going?.” The Atlantic, 11 Jan. |
|
인터넷 자료 |
저널 논문 책 연구 보고서 |
_인용 날짜를 밝혀야 하며, 출판된 자료가 아닌 경우 자료의 제목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 _예) 이채연(2001). “인터넷활용 수업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.” 월드와이드. 웹: http://lotus.pwu.ac.kr/~lcy/syber-younsu3.htm에서 2003년 3월 30일 검색하였음. _예) Thompson, D.(1990). Electronic Bulletin Boards: A Timeless Place for Collaborative Writing Projects. 〔On-line〕. Available from http://corax.cwrl.utexas.edu/cac/archives/v7/7_3_5(Retrieved on 10 Oct. 2018). |
학위 논문 |
석사/ 박사 학위논문 |
김학문(2011). 「엘리엇의 시에 나타난 노장사상 연구」. 박사학위논문. 한국대학교. Ugrina, Luciana(2006). “Spectacular Transformations: Sexual Difference, Feminist Theory, and Popular Cinematic Representation.” Diss. Northwestern U. |